모바일 산업의 르네상스는 언제였을까? 다양한 의견이 있겠지만 나는 2015년 ~ 2018년을 꼽고 싶다.
르네상스가 그리운 이 시점에서 그 때의 신문 기사를 하나 둘 꺼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오늘의 기사: 삼성·애플폰 주춤하는 사이…‘구글폰’ 신고식


구글의 도전

구글은 모바일 운영체제 시장에서 iOS와 양대산맥을 이루는 안드로이드 OS의 주인이다. 그러나 아이폰을 제조하는(사실은 설계만 하지만) 애플과 달리, 구글은 자체 스마트폰 제작에 소극적이었다. ‘넥서스(Nexus)’라는 자체 스마트폰 브랜드를 가지고 있긴 했지만, 디자인부터 세부 설계까지 모두 외부 업체에게 일임하고 자신들은 안드로이드드만 제공하는 ODM 방식이었던 터라 ‘구글의 스마트폰’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럼 왜 구글이 자체 스마트폰을 제작하려고 했을까? 아마 가장 주요한 이유는 구글 생태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로 생각된다. 구글 어시스턴트라는 강력한 AI 비서를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으로 확장시켜 사물인터넷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라는 제어장치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제어장치를 구글이 점령하지 못한다면 구글은 IoT 구현을 위해 사실상 스마트폰 제조업체에 매달릴 수 밖에 없다. 아무리 안드로이드 OS로 제조업체를 통제해보려 한들 제조업체가 ‘그건 하드웨어적으로 어렵다’는 식의 입장을 취해버리면 방법이 없는 것이다.

또, 하드웨어를 직접 개발하면서 좋은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실제 스마트폰의 구동 방식부터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민까지. 네이버가 크롬, 엣지 등이 꽉 잡고 있는 브라우저 시장에서 경쟁이 되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웨일 브라우저’를 출시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스마트폰 개발 그 자체로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주 많다.

사실이야 어떻든 구글은 다양한 이유에서 ODM 방식을 버리고 OEM 방식을 채택한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그 스마트폰이 바로 ‘픽셀폰’이다.


출처: https://kbench.com/?q=node/187005


애매한 위치

갤럭시노트7의 공백을 틈 타 야심차게 출시한 픽셀폰이었지만 후발주자가 늘 그렇듯 고난을 겪게된다.

일단 낮은 인지도는 고사하더라도 일단 ‘순정 안드로이드를 쓸 수 있다’, ‘안드로이드 업데이트를 가장 먼저 받을 수 있다’는 것외에는 장점이 그닥 없었다. 삼성과 같은 업체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안드로이드를 커스텀해왔기에 소비자에게 필요한 추가 요소가 무엇인지를 인지하고 있었고, 순정 안드로이드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었지만, 픽셀폰은 그조차도 미흡해 소비자가 불편함을 겪었다.

그렇다고 가격이 저렴하지도 않았다. 구글은 픽셀폰을 중저가형 보급폰 정도로 보고 출시하지 않았다. 엄연히 플래그십이었고, 아이폰, 갤럭시S 등과 경쟁하는 것이 목표였다.

여기에 더해, 스마트폰 설계 자체를 처음 해보는 구글이었기에 완성도 역시 낮을 수밖에 없었다. 갑자기 먹통이 된다거나 오디오에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등 기초적인 부분에서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픽셀폰은 분명 플래그십의 가격을 가지고 있으나 매력요소는 거의 없는, 애매한 위치를 가지게 된다.


‘구글의, 구글에 의한, 구글을 위한’ 픽셀

픽셀폰은 상술했듯이 출시 초기 어려움을 겪었고, 그 어려움을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픽셀폰이 가장 큰 인지도를 자랑할 수 있는 북미 시장에서조차 1 ~ 2%는 넘나드는 미미한 점유율을 유지하는 중이다. 구글이 픽셀 브랜드로 벌어들이는 수입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구글은 픽셀을 버리지 않았다. 오히려 픽셀 브랜드를 점점 확대하고 있다. 2018년에 단종된 픽셀 태블릿을 다시 부활시켰고, 무선 이어폰에 이어 워치까지 출시했다. 구글은 삼성, 애플 등 하드웨어 강자들에 버금가는 픽셀 라인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출처: Google


비록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력 요소가 없을지라도, 구글 입장에서 픽셀 브랜드가 가지는 ‘하드웨어 독립’이라는 장점은 매우 명확하다. 그러기에, 구글은 ‘구글의, 구글에 의한, 구글을 위한’ 픽셀을 포기할 수 없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