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의 시작

생물학의 뉴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시작된 인공 뉴런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 인공 뉴런을 여러 개 합쳐서 인공 신경망을 만들 수 있다. 1950년대에는 아래와 같은 기계로 가중치를 조절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공 신경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자 연구자들은 ‘나중에는 컴퓨터가 스스로 글을 쓰고 걷고, 심지어는 자아를 가질 수도 있다’는 말도 하였다.


첫 고비 - XOR 문제

딥러닝이 첫 고비를 맞은 것은 XOR 문제를 마주했을 때다. 앞서 살펴본 신경망들은 하나의 결정 경계를 만드는 데, 이는 AND/OR 문제는 잘 해결하였지만 XOR 문제는 해결할 수 없었다.

AND/OR 문제(왼쪽 2개)는 하나의 결정 경계만으로도 정답을 가릴 수 있다. 반면, XOR 문제(오른쪽)는 하나의 결정 경계만으로는 완벽하게 정답을 가릴 수 없다.


AND/OR 문제(왼쪽 2개)는 하나의 결정 경계만으로도 정답을 가릴 수 있다. 반면, XOR 문제(오른쪽)는 하나의 결정 경계만으로는 완벽하게 정답을 가릴 수 없다.

이렇게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에 사람들이 실망했다. 여기에 더해 당대 최고의 AI 전문가 Marvin Minsky는 ‘지구 상의 어떤 사람도 다층 퍼셉트론을 훈련할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없다’라며 상당히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AI에게 지배당한 미래에서 온 구원자 이로 인해 deep learning은 깊은 침체에 빠지게 된다.


재도약 - Backpropagation

이렇게 사람들 사이에서 잊혀지던 인공 신경망이었지만, Paul Werbos(1974, 1982)가 고안해 낸 backpropagation에 의해 문제 해결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그리고 그의 연구는 발표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Hinton이 1986에 이를 재발견해내어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심층 신경망과 Backpropagation

또한 비슷한 시기에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도 고안된다. 이는 사물의 형태에 따라 활성화되는 뉴런이 다르며, 이 신호들이 나중에 조합되어 물체를 인식한다는 생명체의 신경 전달에서 힌트를 얻어 고안되었다. CNN은 그림을 부분 부분 잘라서 신경망을 학습하고, 이를 나중에 합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활용하여 이미 1980년대 당시에 자율 주행 자동차를 고안하였고, 일부 테스트도 성공하였다고 한다.


두 번째 고비 - 너무 깊은 신경망

이렇게 잘 발전하고 있던 딥러닝에 다시 한 번 회의적인 시각이 비치게 된다. 그 이유는 층이 많은 심층 신경망보다 비교적 간단한 SVM, RandomForest 같은 알고리즘이 더 잘 작동하였기 때문이다. 심층 신경망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다시 한 번 고비를 넘기다

캐나다의 CIFAR라는 단체는 당장 돈이 되지 않더라도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지원해준다. 딥러닝 연구가 고비를 맞아 연구자들이 연구를 이어가기 어려웠을 때(Neural Network라는 단어가 들어가기만 해도 논문 기고가 안 될 정도였다고 한다), CIFAR는 딥러닝 연구자들을 지속해서 지원하였고, 결국 그 빛을 보게 된다.

2006년에 Hinton와 Bengio는 인공 신경망에서는 가중치들의 초깃값을 잘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초깃값만 잘 주어도 더 효율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이 밝혀졌고, 딥러닝 연구는 다시 활발해지게 되었다. 기존의 neural network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용어인 ‘Deep Learning’도 이때 새롭게 고안되었다.


딥러닝 전성시대

이제 딥러닝과 AI는 완전한 전성시대를 맞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컴퓨터로 이미지를 구분하는 경연대회인 ImageNet Challenge에서, CNN은 26%에 달하던 기존 오차율을 한 번에(정말 1회 대회 만에) 15% 수준까지 낮추었고, 지금은 사람보다 더 뛰어난 분류 성능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50년대 연구자들이 했던 이야기 중 일부인 ‘직접 쓰고, 말하고, 걷는’ 컴퓨터도 이미 실현되었다.

그리고 딥러닝 연구가 고비를 맞을 때마다 딥러닝을 위기에서 구해낸 Hinton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별도의 출처 표시가 있는 이미지를 제외한 모든 이미지는 강의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밝힙니다.

댓글남기기